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건강

기억과 치매-5편

by AIDragon 2021. 9. 28.
반응형

기억력이 저하된 뇌 어떻게 변할까?

앞으로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의 현저한 증가로 신경퇴행 질환이 많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중에서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등으로 대표되는 치매와 연관된 질환들의 발생빈도가 증가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특이한 주류문화에 기인된 알코올성 치매도 증가일로에 있다. 뇌에서 인간의 행동, 사고, 인지 및 기억 등을 제어하는 중요한 세포는 신경세포이다. 각종 신경퇴행 질환에서 가장 중요한 형태적 변화는 신경세포들의 소실이다. 신경세포 소실은 뇌의 정보 삭제를 의미하여 일반적으로‘정신이 없어진 것’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 이를 자동차에 비유하자면 필수 전자제어장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오작동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치매 유발인자

치매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의 육안소견은신경세포 소실로 인하여 뇌의 측두엽과 두정엽이 위축되어 쭈글쭈글해진다. 신경세포가 소실된 뇌는 행동, 기억, 인지 및 사고 등을 제어할 수 없어 치매에서 나타나는 각종 증상을 나타낸다. 뇌의 신경세포가 소실되는 기전은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하고 있으며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일부 기전이 알려져 있는데 주로‘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뇌에 많이 축적되어 신경세포를 죽게 만든다. 알츠하이머병이 있는 뇌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베타 아밀로이드’ 독성 단백에 의해서 소실되어 가는 신경세포 흔적을 볼 수 있는데 이를 ‘노인판(senile plaques)’이라고 하며 정상 뇌에 비해 많이 증가되어 있다. 그 외에 중요한 소견은 신경세포의 세포질 내에 불규칙하게 두터워진 신경 잔 섬유 뭉치들이 불꽃 모양처럼 보이는데 이를 ‘신경섬유 농축체’라고 하며 알츠하이머병 뇌에서 흔히 관찰된다.

혈관성 치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치매로 혈관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인 고혈압, 동맥경화증, 당뇨병, 흡연 등에 의해 유발된다. 최근 우리나라는 식생활 습관의 변화로 앞으로혈관성 치매의 빈도가 높아질 것은 분명해 보인다. 혈관성 치매의 형태적 변화는 혈관의 동맥경화증과 동맥류 변화 등과 함께 뇌경색 혹은 뇌출혈 등을 볼 수 있다. 혈관성 치매의 특징은 위험인자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면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알코올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는 장기적인 음주로 인하여 심각할 정도의 인지기능 장애, 기억력 소실과 폭력성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알코올성 치매는 전두엽과 해마 신경세포에 대한 독성작용, 이차적인 영양결핍에 따른 비타민 부족 및 주정에 의한 두부손상 등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관대한 술 문화 때문에 폭음하는 것을 능력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음주 후에 기억력 상실, 각종 사건사고 등이 발생한다. 특히 주폭에 대한 문제는 범죄사건과 연관되어 있어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음주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빠른 시일 내에 선진국처럼 올바른 음주 습관의 정착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미래에 발생빈도의 증가가 예상되는 각종 치매에 대한 원인 및 발병 기전을 면밀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치매 뇌조직 확보가 필수적이나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극히 제한되어 있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치매 기전에 대한 뇌조직 분야의 연구들은 주로 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신경퇴행 질환에 임상적, 영상의학적, 핵의학적 자료와 더불어 뇌조직 분야의 기초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서 그 원인과 발병 기전을 보다 세밀히 규명하여 신경퇴행 질환을 극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 방법의 개발이 성공되기를 기원해 본다.

치매환자 돌보기

1. 뇌 MRI를 찍으면 모든 것이 확인되나요?

뇌 MRI를 찍는 이유는 치매를 유발하는 다른 원인(뇌졸중, 뇌종양, 뇌 수두증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뇌의 위축 외에는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2. 좋은 음식은 없나요?

뇌의 대사에 좋은 음식은 있지만, 한 가지 음식만을 탐하는 것은 신체에 유해하며 이는 뇌에도 나쁜 영향을 끼친다.‘김치는 유산균이 많고 영양학적으로 안정된 식품이나, 짜고 매운 김치를 많이 먹는 한국인에서 위궤양, 위암이 많다’는 연구 결과는 이를 뒷받침하는 설명이 될 것이다.

3. 가족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환자를 보살피는 가족들은 환자에게 어떻게 대해야 하나 하는 고민에 직면한다. 아니라는데 자꾸 우기는 아버님, 짜증 내는 어머님. 약물치료가 일부 도움이 되지만 가장 중요한 치료는 가족의 사랑이다. 집안에서 우두커니 혼자 앉아 있기보다는 햇빛 아래에서 걸으며 바람을 느끼고, 노인정에 나가서 사람들을 만나 대화하도록 격려하는 것. 자주 전화드려 혼자가 아님을 느끼게 해 드리고 긍정적인 삶을 살도록 유도하는 것. 그것이 나이 든 부모님과 함께하는 가족의 사랑일 것이다.

반응형

'생활정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과 치매-7편  (0) 2021.09.28
기억과 치매-6편  (0) 2021.09.28
기억과 치매-4편  (0) 2021.09.28
기억과 치매-3편  (0) 2021.09.27
기억과 치매-2편  (0) 2021.09.27

댓글